대한민국은, 웰빙시대, 힐링시대를 거쳐 가성비 시대로 접어들고 있습니다.
비싸고, 품질 좋고, 스타일 좋고, 브랜드 명성 좋은 의류들 입으면 참 좋은데,
요즘 쉽지 않은 세상입니다.
빅정보에서 눈팅생활 몇 년 하면서 느낀건
빅정보에서 소개되는 옷들, 추천하는 옷들을 보면 티 한장 당 10-20만원은 훌쩍 넘는 것들이 대다수라고 생각됩니다.
본인이 흙수저라 그런지 몰라도, 사실 세인트제임스 티 한장 사기에도 부담스러운 것이 솔직한 심정입니다. 온전히 같지는 않으나
5-6만원 대에서 아류 제품을 찾을 수 있고. 더 내려가서 3-4만원 대. 더 내려가면 유니클로나 탑텐에선 1-2만원 대에서
유사 제품을 선택할 수가 있기에, 오리지널 감성으로 세인트 제임스를 사기엔 고민이 많이 됩니다.
아래 제시된 리스트는 웬만하면 10만원 이내에서 모든 걸 해결할 수 있는 브랜드입니다.
거진 국내 브랜드이며, 인터넷 쇼핑으로 손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. 저렴한 가격에 괜찮은 소재에, 쓸만한 퀄리티를 뽑아냅니다.
브랜드의 평가는, 오로지 '소재' 중심으로 작성했으며, 몇몇 오류도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
쓸만한 가성비 브랜드
의류
- STCO, 코디갤러리 (니트류 재질은 거진 아크릴이라 비추, 셔츠가 쓸만함. 정장류는, 레다 원단류는 가성비 좋음)
- 제로 라운지 (STCO의 상위호환), 젠틀맨 컨셉 (보세와 브랜드의 중간지점. 니트 디자인이 좋음)
- 칸투칸 (제로 라운지와 비슷한 컨셉, 합리적이라 하는데 그냥 쓸만함)
- 겐트 (보세와 브랜드의 중간지점. 보세 이미지를 벗으려고 노력하는 브랜드. 재질 나쁘지 않음.)
- 지오다노 (지오다노는 꼭 소재를 보고 사야한다. 같은 디자인이라도 좋은 소재로 만든 게 있고 구린 소재로 만든 게 있다. 물론 펜슬핏 바지는 가성비 최강), 컨셉원 (지오다노보다 약간 위. 대체적으로 소재며 마감이며 쓸만함.)
- IH 밀라노 (가성비 좋음. 개인적으로 칸투칸보단 합리적이라 생각)
- 트루젠 ( STCO보다 소재가 좋은 편이고 가격도 싼 편. 컨셉원보다 가성비 좋음)
- S + (트루젠 서브 브랜드)
- G Floor (BON 서브 브랜드)
- TNGT (LG패션 브랜드 중에서 가성비 있는 브랜드.타운젠트는 핏이 아재임. 퀄리티는 컨셉원, 제로라운지보다 높음)
- UGIZ, 행텐, 어스앤뎀, 엠폴햄 (캐주얼 브랜드, 이지브랜드 이지만, 간혹 퀄리티 있는 옷들을 뽑아줌. 잘 찾아야함)
- 테이트 (세일기간이나 이월상품 중에 가성비 괜찮은 거 있음, 요즘 하락세. 오프라인 가격 노답.)
- 지이크 파렌하이트, 지오지아. eZIO (정장 브랜드에서 가성비 좋음, 가격대가 조금 위인 지오송지오도 쓸만함.)
- 마시모 두띠( SPA 브랜드이지만, 퀄리티가 좋음. 가성비는 아니지만, 세일기간엔 가성비 좋음.)
- 엘르셔츠 (입을만함)
- 앤더슨벨 (세일할 때만 니트류 입을만함)
- EXR (스포츠 브랜드에서 가성비 좋음. 질적으로 프로스펙스와 데상트에 뒤지지 않음.)
- 마운틴 하드웨어 (거품 아웃도어 세계에서 상당한 가성비, 질도 좋음.)
- 콜핑 (아웃도어 가성비 쓸만함.)
- 토키오( 가성비 그닥. 그냥 편집보세브랜드. 여성브랜드인 플라스틱아일랜드와 같은 느낌이랄까. 몇몇 제품은 쓸만함)
- 아스터 (옛 명성은 뒤로하고, 가성비가 떨어짐. 도메스틱 브랜드 하락기. 도메스틱 자체가 가성비와 거리가 멀어짐)
- 니티드(니트류 소재 혼용률은 좋은 편이나, 가격이 비쌈)
- 포레스트 캠프(니트, 가디건 류 소재 좋은 편)
기타 SPA 브랜드(유니클로만 소재가 좋고, 나머지 스파오, 자라, h&m, 탑텐, 에잇세컨즈는 살 바가 못됨.)
기타 트래디셔널브랜드( 타미, 빈폴, 폴로, 해지스, 라코스테, 헨리코튼 등등)은 사실 가성비와 거리가 멀다. 헨리코튼이 가장 소재가 좋음. 폴로는 무조건 직구, 타미,해지스는 세일기간에. 빈폴은 네이버 검색이 이천아울렛보다 저렴. 라코스테는 아울렛. 브룩스브라더스는 한국인 체형에 비해 옷 사이즈가 크기에, 레드플리스 라인으로 오프라인 50%세일 때 가성비 좋음.).
신발
- 로스코 (둥근 코의 블랙 더비슈즈를 찾는다면 합리적인 선택)
- AGE (마찬가지로 더비슈즈로 괜츈.)
- 레드우드( 로스코, 에이지보다 가성비가 더 좋음.)
- 호킨스, 로버스(잘 찾으면 괜찮은 가격대에 쓸만한 걸 찾을 수 있음 - 무조건 온라인샵 구입, 오프라인에선 사면 안됨. 로버스 재질은 그냥 그래.)
- 금강제화 (랜드로바, 클락스, 버팔로 등등 착화감, 마감, 재질, 다 좋음. 온라인 추천, 오프라인은 세일할 때만)
- 탠디(오프라인은 창렬, 온라인에서 좋은 디자인 찾기)
- 소다(요즘 하락세)
- 미소페(탠디보단 가성비 좋음.)
- 닥터마틴 (피로 길들이는 신발, 피로도 끝판왕, 오로지 멋내기 위한 브랜드, 무조건 직구)
- 보닌(디자인이며, 재질이며 쓸만함. 요즘 가격 올리는 추세라서 영 맘에 안듦)
- CRAYONG 클레용(다양한 디자인, 다양한 가격 괜츈-보닌이 가성비가 더 좋음)
- TEMCUS (가성비에 맞진 않지만, 수제화 신발 사이트, 신을만함)
- BUENMOZO (가성비에 맞진 않지만, 수제화 신발 사이트, 신을만함. 템커스보다 제품이 다양)
- TRIFFER (디자인, 가성비 쓸만함, 요즘엔 물량이 거의 없음.)
- 쇼핑남( 실질적 가성비. 인터넷 신발 중에서, 소가죽에, 가성비 괜찮은 거 많음. 7~8만 원 대 소가죽)
- 스코노 (옛 명성은 뒤로하고, 디자인 예쁜 가성비 브랜드가 됨.)
- 프로스펙스
- 가데, 루릭, 테슬라, 페이퍼플레인 - 디자인 좋은 거 고르면 그나마 평타.
-에이티반(가죽 아닌 가방 중에서 쓸만함), 더액션(보세사이트인데 합피 중에서 디자인 잘 뽑음, 싼맛에 사기 좋음, 내구성은 구림) , 샘소나이트 레드(등애 매쉬소재 아닌 걸로 구입하길. 매쉬소재가 옷 재질 다 망가뜨림)
+ 옷은, 디자인보다 소재를 먼저 보면 좋은 것 같습니다.
니트류, 맨투맨 등등
1) 면함량이 높을 수록 보풀이 날 확률이 적습니다. 내구성도 오래갑니다. 쫀쫀한 맛은 덜합니다. 니트인데 면100%인 것은 사두면 후회할 일 없습니다.
2)혼용륭에서 폴리에스터가 40%이상 들어간 것은 무조건 거르세요. 쓰레기입니다. 스파오가 폴리에스터 사랑합니다.
3)다만, 폴리에스터 100%이거나, 직물 직조 방식에 따라서 폴리에스터 함량이 높아도 보풀이 나는 경우가 없을 수 있습니다.
- 폴리에스터 함량이 높은데 보풀이 가장 적은 브랜드가 바로 유니클로입니다. 유니클로는 직물 직조 노하우가 탄탄한 브랜드입니다.
4) 아크릴 100% 니트는 거르시길 바랍니다. 쓰레기 입니다. 해외 제품 중 아크릴100%인데 최고급 아크릴 원단이 존재하긴 합니다.
주로 메이드 인 터키 제품인데, 국내에 잘 들어오진 않고, 직구하시면 됩니다.
5) 울 100%, 캐시 100%은 기능은 좋으나, 보풀이 생각보다 잘 생기고 내구성이 아주 좋진 않습니다.
6) 유니클로 캐시미어 100%은 대략 가격이 9만원대인데, 좋은 캐시미어 원단은 아닙니다만, 쓸만합니다. 손해보는 가격은 아니라고생각. 정말 캐시미어 고유의 부드러움과 가벼움, 보온성을 실현시키려면 20만원 대 가면 확연히 느껴집니다.
7) 혼용률 보기 피곤하다면, 그냥 모100 면100 폴리100 나일론100 캐시100 마100 등 100%만 고르면 돈이 아깝진 않습니다. (아크릴제외)
자켓, 코트, 정장
1)무조건 모100 또는 마100 또는 둘이 섞인 것, 또는 면+마 제품을 고르면 됩니다. 면+ 모 제품이나, 나일론+모 제품이나, 폴리+ 모 제품은 가격이 모100보다 가격이 싸며, 옷이 한없이 싸보입니다. 정장에 한해선 모 100 유지하시고, 추가적으로 이태리산 원단으로 가시면 될 듯합니다.
2)요즘 트랜치코트 많이들 입으시는데, 면100%은 주름이 많이가기에 브러시드 면이 아니고선 없어보일 수 있습니다.
트랜치 코트는 폴리에스터 100% 이나 폴리에스터 함량이 60%이상인거 사면, 옷이 흐물한 느낌이 들지만 주름이 잘 안생기고
데일리로 편하고 맵시있게 입을 수 있습니다. 유니클로 컨버터블 코트가 그런 류이지요.
신발
1) 신발은 가격 떠나서, 무조건 가죽이어야 합니다. 합성피혁 안됩니다. 그리고 밑창(아웃솔) 소재를 집중적으로 보시길 바랍니다.
신발의 내구성은 결국 밑창에서 나오고, 아웃솔이 고무재질이면 마모가 잘 되지 않고 굉장히 오래갑니다.
그런데 밑창(아웃솔)이 고무재질인 신발이 많지 않습니다. 있긴합니다만, 무슨 슬라이스 햄마냥 적게 깔아놓곤 합니다.
밑창을 통 고무로 할 경우 신발 마모가 거의 일어나지 않기에 신발회사 다 망하니 요즘은 그렇게 만들진 않습니다.
쓸데없는 말로, 쿠션작용이니 뭐니해서 스폰지류 같은 재질이나 마모가 빨리 되는 밑창을 주로 쓰는데, 잘 고르시길 바랍니다.
소재에 대한 내용 정말 알차다 고마워!!